웹 어플리케이션은 응용프로그램과는 다르게 반드시 웹 컨테이너를 거쳐야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컨테이너 중에 하나인 톰캣으로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보자.

톰캣의 기본 구조.

톰캣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정해진 규칙에 의거한 폴더트리가 존재해야 한다.

webShop 폴더

  • WEB-INF 폴더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폴더이다.
  • classes 에는 컴파일 된 class 파일들이 저장된다.
  • lib에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jar) 가 들어갈 수 있다.
  • web.xml 은 웹에 대한 설정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다.

실행파일로 구동하기.

  • 톰캣이 설치된 디렉터리에 해당 파일을 이동

  • 브라우저에서 경로 호출.

컨텍스트에 등록하여 구동하기.

  • server.xml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추가.

  • 브라우저에서 경로 호출.

이클립스로 톰캣 구동하기.

1. 새프로젝트 생성

2. html 파일 만들기

3. 톰캣 서버 등록하기.

  • 등록하고나면 톰캣 관련 파일들이 복사된다.

4. 컨텍스트 등록하기.

  • server.xml 을 보면 컨텍스트가 자동으로 추가 되었다.

  • 저장후 구동시 에러

5. 톰캣 구동에러

내 PC에 설치된 JDK는 8이고 톰캣은 9버전을 설치했다. 그래서 구동시에 계속 에러가 났었던 것. 결국엔 톰캣 7버전 zip 파일로 다운받아 실행시키니 정상구동 됐다.



프로젝트 war로 배포하기.

실제 실무환경에서는 유닉스나 리눅스 운영체제에 위에 톰캣 컨테이너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 그러므로 보통 윈도우 운영체제에 이클립스같은 통합 IDE에서 개발완료 후 war파일로 배포하게 된다.

  • 프로젝트 우클릭 -> Export -> War

  • 톰캣 설치경로 webapps 하위에 저장.

  • 서버 실행

  • 실행 후 압축이 풀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정상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됨.

출처: 자바 웹을 다루는 기술

'프로그래밍 > 자바 웹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블릿과 DB 연동  (2) 2019.12.19
서블릿 Response객체  (0) 2019.12.15
서블릿 기초 실습  (0) 2019.12.14
서블릿  (0) 2019.12.14
프로그래밍의 발전과정  (0) 2019.12.10
블로그 이미지

파니동

,